*오동도 동백꽃과 ‘좌익과 우익’
1..내가 『여수의 눈물』을 집필하게 된 동기는 두 가지다. 그 하나는 내 스스로 숙명처럼 정해 놓았던 ‘숙제하기’였고, 나머지 하나가 어느 날 모 박물관에서 목격하게 된 사진 한 장이었다.
누렇게 퇴색한 70여 년 전 흑백사진이었다. 어느 경찰서 뒤뜰이었고, 앵글 안에 들어 있는 스물여덟 명 모두가 누더기를 걸친 채 와들와들 떨고 있었다. 한겨울인데도 여름옷을 켜켜이 껴입은 탓이었지만, 그보다 생포되어 막 끌려온 터라 자신들의 생존문제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더 긴장된 초초한 모습이었다.
소위 빨치산으로 불리는 지리산 공비들이었다. 포승줄에 묶여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시선은 하나같이 형형했다. 닿기만 하면 녹여 버릴 듯이 예리하고 매서웠다. 비록 육신의 자유를 잃었다고 해서 투쟁정신까지 죽어 버린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더 열렬하고 더 팽팽한 살아 있는 눈빛이었다. 나는 그 눈빛에 매료되었다기보다 함몰했다고 해야 옳다.
어쩌면 저런 눈빛을 가질 수 있을까.
저 형형한 눈빛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무엇을 의미하기에 저처럼 레이저광선 같은 파란빛을 띠고 있을까.
과연 저 눈빛을 형상화할 수는 없는 것일까.
2.1948년 10월 18일, 나는 여수 공화동에 있었다. 여천 군청청사 뒤쪽이 내가 살았던 터전이다.
종고산 쪽으로 난 골목을 조금만 올라가도 동백꽃 만발하는 오동도가 선명하게 보였고, 그 너머는 나의 아버지 어머니의 고향이며, 내 유아기를 보냈던 남해 섬이 빛나는 청람색으로 병풍인 양 펼쳐져 있었다.
이른바 ‘여수반란사건’의 현장이었다. 우리 나이로 다섯 살이고, 만으로 네 살짜리 철부지였지만 나는 그날 새벽 콩 볶는 총소리를 들었고, 포승줄에 묶인 채 총살당하는 제복 입은 남자들의 죽음도 보았으며, 태극기인지 인공기인지 구분되지 않았지만, 어쨌든 깃발을 흔들며 환호하는 군중들 속에 나도 끼어 강물 흘러가듯 그렇게 휩쓸려가기도 했다.
그리고 다음다음 날인가. 철모에 흰 띠를 두른 소위 말하는 진압군들이 무더기무더기 상륙했고, 여수는 불바다가 되었다. 군인들이 지른 불이었다. 시민들을 빠짐없이 강제 집합시켜 놓고 빈 집에 석유를 끼얹고 불씨를 던진 것이다.
우리 가족도 공터에 도열해 있었다. 아버지는 내 손을 붙잡고 있었고, 어머니는 젖먹이 동생을 업은 채 급히 나오면서 주섬주섬 챙긴 보따리를 가슴에 움켜 안고 있었다.
군인들은 함부로 총을 쏘아 댔다. 실제로 아무 지시 없이 대오를 빠져 달아나는 청년을 쏘아 쓰러뜨리기도 했다. 총 끝에는 보기만 해도 으스스한 대검이 꽂혀 있었다.
마침내 우리 가족 차례였다.
“그게 뭐야?”
나이 많지 않은 군인이었는데 반말이었다. 얼마나 겁을 먹었는지 어머니는 대답 대신 아버지만 바라보았다.
“그거시 뭐시냐…….”
아버지가 대신 설명하기 전에 대검이 날아와 어머니의 보따리를 찔렀고,
“오메, 오메야!”
어머니의 비명과 함께 보따리가 풀리면서 물건이 와르르 쏟아졌다. 식구들이 쓰던 놋수저와 책 두 권이 전부였다. 아니 더 정확하게 성경과 찬송이라고 해야 옳았다.
“예수쟁이야?”
군인이 물었다.
“네, 예수 믿는 신잔디요.”
“진작 말하지! 이리로 나와!”
그렇게 해서 우리는 죽음의 위기에서 가까스로 벗어났지만 뒷줄, 앞줄, 옆줄 식구들은 모두 트럭에 실려 어디론가 사라졌는데, 그 뒤로 나는 그들의 얼굴을 다시 본 적도 없고, 볼 수도 없었다.
백시종
경상남도 남해 출생으로 1967. [동아일보] 신춘문예 『비둘기』, [대한일보] 신춘문예 『뚝 주변』이 당선되었다. 한국소설문학상·오영수문학상·채만식문학상·류주현문학상·중앙대학문학상·노근리문학상 . 문예바다 발행인, 김동리기념사업회 회장이다.
2021년 세종문화상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작품집으로『황무지에서』 『여수의 눈물』 『누란의미녀 』 『호아저씨를 기다리며』 『오옴하르음악회』 『강치』『주홍빛 갈매기』 『들끓는 바다』 『망망대해』 『북망의 바다』 『겨울 두만강』 『환희의 끝』 『그 여름의 풍향계』 『서랍 속의 반란』 『굿바이 수라바야』 『돼지감자꽃』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팽』 『자라지 않는 나무들』 『비, 축제에 쏟아지다』 『돈황제』 『달래산 달래강』 『길을 묻는 여자』 『서울의 눈물』 『수목원 가는 길』 『강치』 『풀밭 위의 식사』 『오주팔이 간다』 『물』 등이 있다. 대하소설로 『걸어다니는 산』(전7권), 『대물』(전5권), 『재벌본색』(전5권) 등이 있다.
이준섭
(표지 및 본문삽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대학원졸업
미국 뉴욕아트스튜던트리그 인물화수학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 초대작가
산업자원부장관상수상
인물화 다수 수탁제작(삼성이건희회장. 엘지구본무회장, 일본후지필름고모리 시게다카회장등)
인하공업전문대학 명예교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전남 대학교서양미술학과출강